|
저탄소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용접
과정 중 에너지를 최대한도로 절약할 수 있는
“저열
투입”이
바람직합니다. 마찰용접은
고체 상태(비용해
방식)에서
진행되는 용접 방식으로 압접온도가
용해점보다 낮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열투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접합 부분 물체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패터나
흄(Fume)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또한 별도의 물체나
필터가 불필요하며, 용접
과정이 빠르고 결과물을 반복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마찰용접은 다른 접합 방법에도
유리해서 귀하의 제조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
 |
|
|
 |
|
프로세스
& 사이클
 |
프로세스

 |
사이클

 |
|
 |
모재를
양쪽에 놓고,
한쪽
모재를 회전시키면서 다른쪽 모재로 이동한
후,
두
모재를 접합시킨다. |
|
2. 마찰 프로세스 |
|
 |
접촉면에서
마찰열이 생성되기 시작,
용접에
적합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핀들 회전을
중단한다. |
|
3.
업셋 프로세스 |
|
 |
기정
시간을 위한 마찰 추력이 가해지면서 용접이
완료되고,
무늬결
플래쉬가 생성된다.
|
|
|
|
 |
|
|
특징
 |
특징

 |
|
|
|
|
 |
고체상태 용접 |
|
 |
모재의 균등한 접착강도 |
|
 |
재생가능한 결과물과 안정된 품질 확보
가능 |
|
 |
서로 다른 물체 용접 가능 |
|
 |
접합면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열생성
적음. |
|
 |
용접 시 작은 접합 부분만 필요하며, 돌기
제거 불필요 |
|
 |
고에너지 효율 방식 용접 |
|
 |
스패터나 흄 무방출 |
|
 |
스패터와 흄 방출 감소로 좋은
근무환경 유지 |
|
 |
용접튜브 생성으로 무게 감소 및 환경
보호 기여 |
|
 |
특별한 기술이 불필요한 용이한 기계
작동 |
|
용어

 |
|
|
[고체상태 용접] Solid-state welding
고체
상태 용접은 유사 혹은 유사하지
않은 물체를 비용해 방식을 통해
접합시키는 과정이다.
즉,
접촉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모재에 용해점
이하의 열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고체
상태 용접의 핵심 포인트는
가열을 통해 표면 오염층을
제거해서 깨끗한 표면을
확보하고,
동시에
깨끗한 접합면을 접촉시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뛰어난
장점을 갖고 있다.
1) 서로
다른 물체를 용접할 수 있으며,
용해용접이
어려운 금속도 용접이 가능하다.
2) 재료
품질과 기계 내구력 관련 높은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무결성
수준이 높은 용접이 가능하다.
|
|
|
|
|
|
[스패터] spatter
스패터는
가스 용접이나 아크 용접시
발생하는 미세조각을 말한다.
이
미세 조각은 약 1μm~
몇mm
크기이다.
스패터는
도장 결함을 야기하고 품질에
나쁜 영향을 준다.
주로
자동차 본체 용접을 소개하는
이미지에서 대량의 스패터가
생성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스패터는
전극 가압력을 약화시키고 용접
품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
|
|
|
|
|
[흄] fume
흄(Fume)은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
증기로 나중에 미세 조각으로
응집된다.
흄이
장시간 동안 방출되면 소위
산재로 분류되는 금속 흄 열병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기침,
흉부
압박,
비정상적인
불쾌감,
열과
같은 증상도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로는
폐부종도 생길 가능성도 있다.
|
|
 |
|
|
용접
품질
 |
모재의 균등한 접착압력이 가능합니다. 용접
부분의 구조가 세밀하며, 견고하고 안정된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장력 테스트
| |
S
45C
용접 부분의 단면도 |
|
SUH31B-SUH3B x 00 배 확대 |
|
|
응용
사례
 |
|
|
|